본문 바로가기

돈공부

(20)
주식 공부하는 방법 feat. 김종봉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식 투자를 하게되면서 이제는 예전처럼 묻지마식 투자가 아니라 주식도 공부를 하고 신중하게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막상 주식 공부를 하려고 보면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얼마가지 않아 포기하는 경우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면 주식을 어떻게 공부하면 좋은지 올해 초쯤부터 유명 유튜버 채널에 출연하기 시작하면서 많이 알려지기 시작한 김종봉 전업투자자의 최근 출간된 책 『돈의 시나리오』의 내용을 토대로 알아보자. 1단계 1,000만원 모으기 제목만 보고 흔히 말하는 '시드머니 천만원을 모으세요' 라는 내용인줄 알았다면 오산이다. 여기서 말하는 천만원 모으기란 천만원까지 자산을 모을 때까지의 공부 방법을 말한다. 김종봉 투자자는 주식투자는 100만원부터 시작하라고 말한다. 1..
키움증권 영웅문 계좌이체 방법 키움증권 HTS인 영웅문에서의 계좌이체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영웅문에서 [0801] 온라인업무>연계은행입출금으로 들어간다. 여기에서는 증권계좌로 입금하거나, 은행계좌로 출금을 할 수 있다. 연계은행입출금 화면이다. 영웅문 계좌이체 1 1. 이체를 원하는 증권계좌를 선택한다. 2. '증권계좌비밀번호' 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잔고조회'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계좌예수금, 인출가능금액, 수표금액 등의 증권계좌 관련 정보가 나온다. 매도담보대출 금액까지 출금할 경우에는, 1. '대출후출금가능' 오른쪽의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금액이 조회된다. 2. 바로 위의 '매도담보대출가능' 오른쪽의 '상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즉시대출출금 가능금액 화면이 보인다. 영웅문 계좌이체 2 1. '은행계좌조회..
주식 복리 계산기 주식 복리 계산기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한다. 주식뿐만이 아니라 투자에 관한 공부를 하다보면 '복리'라는 개념을 많이 접하게 된다. '복리의 마법' 이라는 말도 있듯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복리의 힘은 훨씬 더 놀랍기 때문이다. 그러면 주식 복리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3가지를 알아보겠다. 앱 App 많은 앱이 있지만 평점도 높고 사용방법도 매우 간단한 앱을 소개해드리겠다. 원터치 주식복리계산 이 글을 쓰는 시점 기준 1천이상 다운로드 / 평점 5.0 인 앱이다. 화면도 매우 심플하고 직관적이다. 아래는 원터치 주식복리계산 앱의 초기 화면이다. 안내대로 입력해보면 아래와 같이 바로 계산된다. 사용하기 상당히 편리한 앱이다. 만약 다른 기능을 원하면 앱스토어에서 '복리 계산' 이라고 검색하면 다른 ..
주식 PER PBR 주식공부를 시작하면 가장 많이 보게되는 단어 중의 하나가 PER, PBR일 것이다. 그러면 PER과 PBR은 무엇인지 쉽게 알아보자.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을 말한다. 주당시가를 주당이익으로 나눈 것이다. PER(주가이익비율)=주가/주당 순이익(EPS) 또는 PER(주가이익비율)=시가총액/순이익 즉,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어떤 회사의 주식가치가 고평가되어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유용한 값이다. 예 어떤 기업의 주식가격이 10,000원, 1주당 수익이 1,000원이라고 가정하면, 이 때 PER은 10,000/1,000 이므로 PER은 10이 된다. 의미 PER이 높다는 것은 주당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
미국 ETF QQQ 개별 종목에 투자하기 어려운 사람의 경우 ETF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은데 미국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 ETF란? Exchanged Traded Fund 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를 말한다. 만약 아마존 주식을 사고 싶다고 가정해보자. 아마존 주식은 현재 3,000달러가 넘기 때문에 보통 사람은 1주도 사기 어렵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고 싶어하는 아마존이나 구글도 마찬가지이다. 1주 가격만해도 너무 비싸서 살 엄두가 안나는 사람도 많다. 이럴 때 내가 좋아하는 기업을 묶어서 파는 ETF를 사면 되는 것이다. 그러면 적은 돈으로도 내가 사고 싶은 많은 기업들을 살 수 있다. 주식을 공부할 시간이 부족하거나 주식이 너무 어려워서 공부하기 힘든 사람이라면 ETF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개별 종목에 투자할 경우..
삼성전자우 배당일 많은 개미들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 주식. 배당률이 더 높아 삼성전자우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분들도 많을 것이다. 그러면 삼성전자우를 보유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인 배당금이 지급되는 배당일에 대해 알아보자. 삼성전자우 배당률 2021.04.01 기준 삼성전자우 배당률은 4.02%이다. 참고로, 삼성전자는 3.53%다. 2021년 삼성전자우 배당일 삼성전자는 분기배당이다. 분기마다 배당을 준다는 말이다. 1분기 삼성전자우 배당일 매수가능일 - 3.29 배당락일 - 3.30 배당 기준일 - 3.31 배당금 지급일 - 5.20 2분기 삼성전자우 배당일 매수가능일 - 6.28 배당락일 - 6.29 배당 기준일 - 6.30 배당금 지급일 - 8.20 3분기 삼성전자우 배당일 매수가능일 - 9.28 배당락일 - ..
삼성증권 IRP 퇴직연금 제도가 시행되면서 퇴직금 수령액이 300만원이 넘어가면 IRP 계좌로 받아야하는데, 삼성증권에서 최초로 수수료가 없는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 상품을 내놓았다. 삼성증권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 상품에 대해 알아보자. IRP란? IRP는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로 개인형 퇴직연금을 말하며, 예금, 펀드, 채권, 주가연계증권(ELS)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다. IRP계좌는 은퇴소득 마련을 위한 퇴직연금 계좌의 종류 중 하나로 연간 최대 700만원 납입 한도까지는 최대 16.5%의 세액공제가 적용된다. 또한 소득에 대해서는 15.4%의 배당소득세를 면제해주며, 만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에는 3.3%~5.5%를 연금소득세로 과세하고 퇴직..
배당금 높은 주식 추천 요즘 주식투자와 함께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이 배당금이다. 좋은 회사를 찾아 주식을 오래 보유하고 주식을 처분하지 않더라도 배당금을 이자처럼 받는 것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러면 배당금이 높은 주식을 추천해보도록 하겠다. 배당주를 고를 때 중요한 것이 배당금을 얼마나, 꾸준히 오래, 올려주었는가인데 미국은 그 정도에 따라 단계를 분류하고 있다. 배당 킹 50년 이상 배당금을 지속적으로 인상한 기업 배당 귀족 25년간 배당금을 지속적으로 인상한 기업 배당 도전자 or 배당 성취자 10년 이상 배당금을 인상한 기업 가장 좋은 기업은 당연히 배당 킹이다. 그렇다면 배당 킹 기업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배당 킹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주는 MarKetBeat.com 이라는 사이트가 있다. ..
주식 배당금 받는법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는데, 예전과는 달리 이제는 공부를 하며 투자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래서 주식 배당금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그렇다면 주식 배당금 받는법에 대해 알아보자. 배당금이란? 기업은 순이익을 배당금과 유보이익으로 나눈다. 유보이익은 말 그대로 기업 내부에 유보시켜 재투자금으로 활용하는 것이고, 유보시킨 자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배당금으로 주주들에게 지분 비율에 따라 지급되는 것이다. 배당을 받을 권리는 사업연도가 끝나는 날 주주명부에 이름이 올라가 있는 주주들에게 한정되며, 기업에서 연간 사업보고서가 나온 후 주주총회가 열리게 되는데 이 주주총회에서 배당여부와 규모를 결정한다. 이 때 주식으로 주겠다고 결정되면 주식배당이 되는 것이고, 현금으로 주면 현금배당이 되는 것이..
주식 배당 세금 배당금이란? 네이버 지식백과) 기업이 이익을 발생시켜 회사내에 누적하여 온 이익잉여금의 일부를 기업의 소유주에게 분배하는 것을 말한다. 배당금은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으나 배당금은 비용이 아니다. 배당금은 보통 현금으로 지급되지만 주식에 의한 경우와 어음에 의한 경우 등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한국의 경우 배당소득세는 14%이다. 여기에 지방소득세 1.4%가 붙어 최종 부과되는 금액은 배당금의 15.4%가 된다. 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할 경우 6~45%의 종합소득세가 함께 부과된다. 종합소득세=근로소득+이자소득+사업소득+연금소득+기타소득+배당소득 이다. 과표 세율 누진공제 1,200만원 이하 6% - 4,600만원 이하 15% 108만원 8,800만원 이하 24% 522만원..